본문 바로가기

山寺

금강산 건봉사

 막 동터오는 햇살을 등 뒤로 받으며 찾아간, 동해안 최북단,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냉천리에 있는 건봉사였다. 6.25 전쟁 때, 치열한 전투로 소실되었던 것을 1994년 이후 점차로 복원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단다. 임진왜란 때 왜구가 통도사에서 가져간 부처님 진신치아사리 12 과를 임진왜란이 끝나고 사명대사가 일본에서 찾아와 건봉사에 봉안하였다. 이후조선 경종 때 사리탑을 만들고 적멸보궁을 지었는데, 현재의 적멸보궁은 1994년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경내엔 아직도 휑한 건물터가 많이 남아 있어서, 오늘의 건봉사는 새로운 사찰로 만들어 가고 있는 절이라 하겠다.

 한동안 왕래할 수 있었던 금강산 방문이 끊어지고, 냉전시대 이상으로 남북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이때, 우리가 갈 수 있는 최북단의 사찰이 바로 건봉사이기에, 금강산 방문이 재개되면, 내금강의 수려한 경치도 느껴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였다.

 

 건봉사 입구 안내문

 

건봉사 초입 풍경

 

불이문은 사찰에서 본당에 들어서는 마지막 문으로 진리는 둘이 아니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이 문을 본당에 들어서는 곳에 세운 것은 이곳을 통과해야만 진리의 세계인 불국토에 들어갈 수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부처와 중생이 다르지 않고, 생과 사, 만남과 이별 역시 그 근원은 모두 하나라는 의미이다. 이 같은 불이(不二)의 뜻을 알게 되면 해탈할 수 있으므로 해탈문이라고도 한다.

 

범종각 아래 동쪽 풍경, 동쪽 산 등성이 위로 살짝 떠오른 햇살은 초파일에 즈음한 부처님의 따사로운 자비처럼 세상에 널리 퍼지고 있었다.

 

범종각과 돌기둥

 

범종각 북쪽의 계곡 건너 대웅전이 있는 절집들. 2층 다락 봉서루 뒤가 대웅전이다.

 

범종각에서 적멸보궁으로 가는 계단길, 특이하게도 건봉사에는 돌기둥이 많았다.

 

석주문 돌기둥에는 십바라밀의 도형이 음각되어 있다. 용사활지(龍蛇活地)란 용과 뱀이 사는 땅이란 뜻이고, 방생장계(放生場界)는 방생의 영역이란 의미라고 한다. 너른 의미로 모든 것이 더불어 사는 지역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적멸보궁으로 가며 뒤돌아 본, 범종각이 있는 동쪽 방향. 건봉사를 비추는 햇살이 곱고도 아름다웠다.

 

건물들이 있었던 축대 위엔 이름 모를 잡초들만 무성하고, 그 위엔 새로 지은 산신각이 덩그러니 외롭게 산자락을 지키고 있었다.

 

동쪽을 향해 앉은 적멸보궁

 

적멸보궁 안에는 부처님이 없다. 통도사처럼 뒤쪽의 유리문을 통해 부처님의 진신치아사리를 봉안한 사리탑을 바라볼 수 있을 뿐이다. 아예 전면에서도 앞문이 없이 통유리를 통해 부처님 사리탑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적멸보궁 뒤의 부처님의 진신사리탑

 

 연화좌대 위에 올려진 사리탑

 

적멸보궁 측면

 

동쪽으로부터 적멸보궁으로 오르는 길, 그러고 보니, 부처님의 사리는 서편에 봉안되어 있었다.

 

적멸보궁에서 내려오는 길에 바라본 골짜기 건너편의 대웅전, 아치형 다리는 능파교로 국가 보물로 지정되었단다.

 

2층 다락 현판에 금강산 건봉사라 이름하여 걸었다. 실제로 뒷산의 이름은 건봉산이다.

 

알 수 없는 기호가 음각된 석주문

 

건봉사 대웅전

 

아침부터 초파일 준비로 한창인 듯, 대웅전 마당에 의자가 쌓여 있다.

 

능파교를 건너 오른편의 범종각, 석주 위에 봉황석상이 북녘을 향하여 앉아있다.

 

건봉사 아래로 초입으로 내려와 불이문 오른쪽으로 올려다본 능파교와 대웅전이 있는 절집

 

건봉사 아래로 내려와 주차장에서 바라본 소개판과 범종각, 불이문

 

주차장 앞에 세워진 시비 두 개

 

임진왜란 때 사명당이 의병을 일으킨 이곳을 기념한 사명당 의승병기념관

 

건봉사 옛 사진(1930년대)

 

사족 - 건봉사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절과는 다른 사찰이었다. 극락정토의 왕생을 위해아미타 부처와 관세음보살을 외며 만 날 동안 기도하던 염불만일회(念佛萬日會)가 최초로 개설되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사명대사가승병을 일으키고, 왜병이 약탈해 간 진신사리를 되찾아 봉안하기도 한, 호국의 성지이기도 했다.